I am currently working on a new work, Virgin Simchung, in my house in Korea, which is located at the foot of a mountain. And yet, strangely enough, I sometimes have the illusion that I am in the cabin of a ship out at sea, instead of in my study room. It is probably an inversion brought about by some memories from the time when I was sojourning in Jeju Island.

In those days I was principal and teacher at a small free middle school for children from poor families. On weekends and holidays I never failed to visit a place under the cliffs beside the sea, where I devoted myself to listening to the sound of the waves. Years later, I realised that the rhythm of the sound of waves breaking had entered into the rhythm of my poems.

In the afternoon of those days I would climb up to a place near a lighthouse on the cliff. The lighthouse, with a beam so powerful that it shed light on the open sea 74km away in the darkness of the night, was a source of endless fascination to me.

Lighthouses existed on earth many centuries before the present era. The light in those times came from a flame made by burning resin. In ancient Korea, signal fires lit on the mountain peaks along the seaside guided the ships. Lighthouses are usually built on the hills by the sea or at the entrance to harbors, because a lighthouse must be located at a place where the ships can see its light easily and it is equally important that the lighthouse should be defended against storms and raging waves.

I was very surprised to receive such unexpected news and I am very honoured to have been selected as the recipient of the 2014 Struga Golden Wreath Award in the Republic of Mecedonia, a land far from Korea, in the western part of Eurasia. This award will encourage me to advance yet further in my life as a poet.

Surely that was a golden age of poetry, when people first began to set up lighthouses that gazed toward the horizons of this world’s oceans and sent out guiding beams of light. Since then, a lighthouse has been a synonym for poetry. I am confident that poetry will continue to perform the role of a lighthouse in the future of human history.

Thank you.

스투루가 황금화관상의 수상을 받으며

지금 나는 산기슭의 서재에서 장시 『처녀』를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서재가 가끔 엉뚱하게도 바다 위에 떠 있는 배의 선실(船室)로 여겨집니다. 아마도 1960년대의 내가 한국의 남단 제주도에 체류했을 때의 기억이 불러온 도착(倒錯)일지 모릅니다.
그 제주도 시절 나는 내가 세운 빈민층 아이들의 무료수업을 진행하는 사설(私設) 중학교 교장 및 교사로 일했습니다. 나는 주말이나 휴일의 오전은 반드시 바닷가 절벽 밑으로 가서 파도소리에 잠겨있었습니다. 그 파도치기의 율동이 내 시의 율동으로 이입(移入)된 사실은 뒷날에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 날의 오후에는 절벽 위의 등대 언저리에 올라가 있었습니다. 한밤중의 어둠 속에서 74킬로미터의 난바다에까지 비추는 광력(光力)의 등대야 말로 단념할 수 없는 매혹이었습니다.
지구상의 등대는 기원전 몇백년 무렵부터 있어왔습니다. 송진으로 불을 밝혔습니다. 한국의 고대에는 바닷가 꼭대기에서 봉화를 밝혀 뱃길을 인도(引導)했습니다. 등대는 바닷가 언덕이나 항만의 입구에 설치하는데, 그것은 등대가 배에서 잘 보이는 곳에 있어야 할 뿐만이 아니라 폭풍이나 성난 파도를 견디는 방어능력이 기본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나는 뜻밖의 놀라운 소식을 받았습니다. 유라시아 서쪽의 마케도니아에서 스투루가 황금화관상의 수상자로 선정된 영광이 그것입니다. 이것은 내 시인생활의 항로를 격려해줄 것입니다.
확신컨대 이 세상의 바다 수평선을 온몸으로 내다보고 있는 등대를 세워 그 불빛을 비추기 시작한 시대야말로 시의 황금시대였을 것입니다. 그 이래 시와 등대는 동의어였습니다. 나는 인류사 미래에서 시가 오랫동안의 역할을 이어가는 등대일 것을 확신합니다.
감사합니다.

2014. 02. 15 고 은